5년 뒤, 나도 목돈 만들 수 있을까?
답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. 2025년부터 더 강력해진 청년도약계좌, 들어보셨나요?
월 10~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얹어주고, 여기에 이자까지 더해
5년 뒤 최대 5,000만 원 이상의 자산 형성이 가능한 제도예요.
게다가 올해부터는 신용점수 혜택, 중도인출, 유지혜택까지 대폭 확대되었고,
가입만 해도 최대 100만 원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열렸습니다.
그럼 지금부터 어떻게 바뀌었는지, 나도 해당되는지 함께 살펴볼게요.
1. 청년도약계좌란?
정부와 금융기관이 함께 운영하는 장기 저축 제도로,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개인 저축 + 정부 기여금 + 이자를 통해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운영 기간: 최대 5년
- 가입 대상: 만 19세~34세 청년
- 저축 방식: 매월 일정 금액 저축 시,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최대 3.3만 원 지원
예: 월 70만 원 저축 시, 최대 5,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가능
2. 2025년 이렇게 달라졌어요!
2025년부터 지원금 확대, 유지 혜택 강화, 신용점수 가점, 인출 조건 완화까지 다방면에서 업그레이드됐습니다.
- 정부 기여금 확대: 최대 월 3.3만 원 (기존 2.4만 원)
- 3년 이상 유지 시: 해지하더라도 비례 지급 가능 (최대 60%)
- 성실 납입 시: 개인 신용점수 최대 10점 가점 부여 (NICE 기준)
- 부본인출 서비스 허용: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금의 40%까지 가능
💡 연 최대 9.54%의 일반적금상품 수준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요.
3. 가입 대상 및 조건
- 연령: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 (병역 이행 시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)
- 개인 총급여: 7,500만 원 이하 (중위소득 180% 이내)
- 근로·사업소득자: 소득이 확인되어야 하며, 일정 요건 충족 시 가입 가능
📌 신청 시점 기준 6개월 이상 납입 가능해야 하며,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 등으로 확인됩니다.
4. 신청 방법과 일정
- 사전 신청: 2025년 4월 1일부터 시작
- 신청 채널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농협 등 시중은행 앱 및 창구
💡 신청 후 가입 승인을 받아야 하며, 가입 전용 플랫폼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에서 본인 확인 후 진행됩니다.
5. 특별 이벤트: 200만 번째 도약이
2025년 3월 31일부터 200만 번째 가입자 달성 시까지 특별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.
- 대상: 해당 기간 내 가입자
- 경품: 최대 100만 원 상당 리워드 (1명)
- 발표: 5월 말 예정, 청년도약계좌 인스타그램/플랫폼 공지
👉 ‘청년도약계좌’ 공식 SNS 및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참여 방법을 확인해보세요.
6. 알아두면 좋은 팁
- 본인 소득 조건에 맞춰 지원금이 다르게 책정되니, 지원액 시뮬레이션 활용 권장
- 중도 해지하더라도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혜택 유지 가능
- 신용점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이 있으므로 장기적으로도 이점 큼
청년도약계좌는 선택이 아니라 전략입니다.
조건이 맞는다면 지금이 가장 유리한 시기일 수 있어요. 이벤트까지 진행 중인 지금, 늦지 않게 챙겨보세요.
💡 ‘월급노마드의 혜택 정보 보관소’는
복잡하고 흩어진 정책 정보를 직장인의 시선에서 정리해드리는 블로그입니다.
실용적인 혜택 정보, 여기서 계속 받아보세요 :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