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연말정산 했는데 종합소득세 신고도 해야 하나요?

by 월급노마드 2025. 4. 29.

연말정산으로 끝난 줄 알았는데, 5월에 또 종합소득세 신고하라는 문자가 온다면?

직장인도 종소세 대상이 되는 경우를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했습니다.

 

 

직장인이라면 대부분 1~2월에 연말정산으로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 처리를 마무리합니다. 그런데 5월이 되면 또 “종합소득세 신고하라”는 알림을 받는 경우가 있어요.

“나도 해당될까?” “이미 연말정산 했는데 또 뭘 내라는 거지?” 궁금하셨다면, 이 포스팅을 통해 정리해보세요.

 

 


 

 

1. 연말정산 vs 종합소득세 차이

연말정산은 ‘근로소득자 전용 정산’, 종합소득세는 ‘모든 소득을 합산해 한 번 더 신고’하는 절차입니다.

  • 연말정산: 회사 급여만 정산 (근로소득)
  • 종합소득세: 근로 외 수입(사업, 이자, 배당, 임대 등)도 합산 신고

즉, 회사 월급 외 수입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2. 이런 직장인, 종소세 신고 대상입니다
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5월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.

  • 3.3% 프리랜서 수입이 있는 직장인
  • 스마트스토어, 블로그, 유튜브 수익이 발생한 경우
  • 임대소득이 연 2000만 원 초과하는 경우
  • 금융소득(이자·배당)이 연 2000만 원 초과하는 경우
  • 기타 근로 외 소득이 연 100만 원 초과하는 경우

👉 특히 3.3%만 원천징수된 소득은 반드시 5월에 최종 정산해야 합니다.

 

종소세 종합소득세 신고대상

 

3. 이런 사례, 종소세 신고해야 해요!

실제 이런 경우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

  • 📚 퇴근 후 과외하는 직장인 김대리
    주말에 영어 과외로 연 400만 원 수익 → 3.3% 떼고 받았지만 종소세 신고 대상!
  • 📦 스마트스토어 운영하는 이과장
    퇴근 후 잡화 판매, 연 1200만 원 부수입 → 사업소득 발생, 신고 필요!
  • 🏠 원룸 임대하는 정팀장
    연간 임대료 수익 2400만 원 → 연 2천만 원 초과로 종소세 신고!
  • 📈 배당 ETF 투자한 박대리
    이자·배당수익 연 2300만 원 →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!

💡 금액이 크지 않아도 ‘근로소득 외’ 수익이 있다면 꼭 점검하세요!

 

4.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
종합소득세는 법적으로 의무 신고입니다. 신고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있습니다.

  • 무신고 가산세 20% + 납부 지연 가산세 부과
  • 국세청 소득 추징 (소득이 드러나면 바로 부과)
  • 금융·신용심사 불이익 가능성

특히 3.3% 원천징수만 됐던 부수입은 "이미 낸 거 아냐?"라는 오해가 많지만, 종합소득세 신고로 정산을 완성해야 합니다.

 

5. 종합소득세 간편 신고 방법

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,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홈택스 로그인 (공동인증서 필요)
  • ‘모두채움 신고서’로 자동 입력 활용
  • 추가 소득 입력 → 제출 → 고지서 출력/납부

📞 복잡한 경우는 세무사를 통한 신고가 절세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
 

💡 ‘월급노마드의 혜택 정보 보관소’는

프리랜서는 덜 안정적이고, 사업할만큼 부지런하지는 않고.

그래서 자발적 월급쟁이를 택했으나 지금보다는 윤택하게 살고 싶은 직장인이
복잡하고 흩어진 정책 정보를 아카이빙 해가는 블로그입니다.

지금보다 더 잘 사는 월급 생활, 저와 함께 전략적으로 챙겨보세요.